[ BASIC MATH ] 01. 집합 ( set )
📚 Table of Contents
집합 ( set )
어떤 명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대상들의 모임
표현 방법
원소나열법
집합의 원소를 나열하여 집합을 표현하는 방법이다.
중괄호 '{}' 속에 쉼표 ,
로 구별하여 나열한다.
예를 들어, 다음과 같다.
- {1, 2, 3}
- {흰색, 검은색}
조건제시법
그대로 집합의 원소인지를 판단하는 조건을 제시하여 집합을 표현하는 방법이다.
중괄호 '{ }' 속을 수직선 |
이나 쌍점 :
을 써서 두 구역으로 나눈 뒤,
왼쪽 구역에 집합의 원소를 나타내는 식을 적고,
오른쪽 구역에 원소가 만족시킬 조건을 적는다.
예를 들어, 다음과 같다.
- {n|n은 자연수, 1 ≤ n ≤ 5}는 1부터 5까지의 모든 자연수의 집합이다.
- {2n|n은 정수는 모든 짝수의 집합이다.
벤 다이어그램
집합을 나타내는 원을 그려 집합을 표현하는 방법이다.
어떤 원의 안쪽은 그 원이 나타내는 집합에 속하는 부분,
바깥쪽은 그 집합에 속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한다.
두 원이 겹치는 부분은 두 집합에 공통으로 속하는 부분을 나타낸다.
어떤 원이 다른 원의 안쪽에 놓인다면, 집합의 모든 원소가 다른 집합의 원소라는 의미
이때 첫째 집합이 둘째 집합의 부분 집합이라고 한다.
원이 서로 겹치는 두 집합은 공통 원소가 있는 집합을 의미하며,
원이 서로 겹치지 않는 두 집합은 공통 원소가 없는 집합, 즉 서로소 집합을 의미한다.
교집합 ( ∩ )
두 집합의 원소 중 겹친 부분의 집합
A = { 1, 2, 3 } B = { 2, 3, 4 } 일 때
교집합은 다음과 같습니다.
A ∩ B = { 2, 3 } <-- 두 집합 중 겹친 원소만
합집합 ( ∪ )
두 집합의 원소들을 모두 모은 집합
A = { 1, 2, 3 } B = { 2, 3, 4 } 일 때
합집합은 다음과 같습니다.
A ∪ B = { 1, 2, 3, 4 } <-- 두 집합 원소 모두
여집합
여집합이란 여분이란 뜻의 나머지란 의미이다.
따라서, 나머지들을 모은 것이 여집합이다.
전체에서 그 집합을 제외하고 남은 집합이다.
남녀공학인 학교에서 남학생의 집합을 A 라고 하면
A = { 남학생 모두 } <-- 남학생들의 집합
남학생 모두를 집합 A 라고 하면 그 여집합( Ac )은 다음과 같다.
Ac = { 여학생 모두 } <-- 전교생에서 남학생을 뺸 여학생
이 때 전교생은 전체 집합 ( 기호 : U ) 이 된다.
전교생 = 남학생 + 여학생
U = A U Ac <--- 남학생과 여학생의 합집합은 전체집합
자바로 구현
[ BASIC MATH ] 01. 집합 ( set ) _ with java
[ BASIC MATH ] 01. 집합 ( set ) _ with java 📚 Table of Contents 개념 [ BASIC MATH ] 01. 집합 ( set ) [ BASIC MATH ] 01. 집합 ( set ) 📚 Table of Contents 집합 ( set ) 어떤 명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대상들의 모
leungnyeok.tistory.com
reference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C%A7%91%ED%95%A9
'Knowledge > 기초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BASIC MATH ] 03. 순열 ( permutation ) _ with java (1) | 2023.11.22 |
---|---|
[ BASIC MATH ] 03. 순열 ( permutation ) (2) | 2023.11.22 |
[ BASIC MATH ] 02. 경우의 수 _ with java (0) | 2023.11.22 |
[ BASIC MATH ] 02. 경우의 수( number of cases ) (1) | 2023.11.22 |
[ BASIC MATH ] 01. 집합 ( set ) _ with java (0) | 2023.11.22 |